맨위로가기

마치무라 긴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치무라 긴고는 1900년 홋카이도 삿포로시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아오모리현, 시즈오카현, 기후현 등의 경찰부장을 거쳐 도야마현 지사, 니가타현 지사, 경시총감을 역임했으나, 궁성 사건으로 사임했다. 1952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이후 홋카이도 지사를 세 번 역임하고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1973년 자치상, 국가공안위원장,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을 역임했으며, 1983년 정계를 은퇴하고 1992년 사망했다. 그는 내무성 부활을 주장하고, 홋카이도 출신으로 아이누 정책에 적극적이었으며, 홋카이도 청사 보존 운동을 주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지사 - 요코미치 다카히로
    요코미치 다카히로는 홋카이도 삿포로시 출신으로 사회당 국회의원 요코미치 세쓰오의 아들이자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노로 에이타로의 외손자이며,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 후 변호사, 국회의원, 홋카이도 지사, 중의원 의장 등을 역임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마치무라가 - 마치무라 노부타카
    마치무라 노부타카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10선 의원을 지내며 문부대신, 외무대신, 내각관방장관 등 주요 요직을 역임하고 중의원 의장까지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인물이다.
마치무라 긴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경시총감 재임 중의 町村金五
경시총감 재임 중의 마치무라 긴고
원어 이름町村 金五
로마자 표기Machimura Kingo
출생일1900년 8월 16일
출생지홋카이도 삿포로시
사망일1992년 12월 14일
사망지도쿄도
국적ese (일본)
배우자마치야 비바
자녀마치무라 노부타카(아들)
학력도쿄 제국대학
정치 경력
소속 정당개진당
무소속
자유당
자유민주당
무소속
자유민주당
주요 직책
내각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제1차 개조 내각
임기 시작1973년 11월 25일
임기 종료1974년 11월 11일
선거구전국구
당선 횟수2회
임기 시작1971년 7월 4일
임기 종료1983년 7월 9일
선거구구 홋카이도 1구
당선 횟수4회
임기 시작1952년 10월 2일
임기 종료1959년 3월 25일
당선 횟수3회
임기 시작1959년 4월 23일
임기 종료1971년 4월 22일
주요 경력
전직내무성 관료
관선 제33대 니가타현 지사
관선 제28대 도야마현 지사
제53대 경시총감
호쿠카이 타임스사 대표이사 회장
기타 직책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
(총재: 스즈키 젠코)
수상
훈장정3위
훈1등 욱일대수장
가족 관계
친족 (정치인)아버지: 마치무라 킨야
형: 마치무라 타카요시
둘째 아들: 마치무라 노부타카

2. 생애

1900년 홋카이도 삿포로시에서 오쿠보정장을 지낸 마치무라 긴야의 5남으로 태어났다. 가이세이 중학교, 제이고등학교를 거쳐 1924년 도쿄 제국대학(지금의 도쿄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해 1924년 5월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내무 관료, 홋카이도지사, 참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서 자치상 겸 국가공안위원장 겸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을 맡기도 했다.

1952년 총선에 개진당 공천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중의원 의원을 거쳐 홋카이도지사를 지냈다. 1959년 홋카이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일본사회당의 요코미치 세쓰오를 6.2%p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으며, 이후 1963년, 1967년 선거에서도 승리하여 3선 도지사를 지냈다. 1971년에는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국회로 복귀했다.

1972년 5월 홋카이도 타임스의 대표이사가 되었으며, 1973년 11월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서 자치상 겸 국가공안위원장 겸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입각했다. 1980년 7월 자민당 참의원 의원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했다. 1983년 7월에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

1992년 12월에 사망했다. 사후 정3위에 추서되었으며 묘소는 도쿄도 분쿄구의 기치조지에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료 경력

1900년 홋카이도 삿포로시에서 마치무라 긴야의 5남으로 태어났다. 가이세이 중학교, 제이고등학교를 거쳐 1924년 도쿄 제국대학(지금의 도쿄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1924년 5월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첫 부서는 아오모리현 지사관방 주사 겸 내무부 서무과였다. 1925년 10월부터 아오모리현경 경무과장도 겸했다. 1926년 10월 시즈오카현경 보안과장이 되었다.

1929년 8월 시즈오카현 내무부 상공과장 겸 수산과장을 지냈고 1930년 4월에 시즈오카현경 경무과장이 되었다가 3개월 뒤 궁내성으로 옮겨 대신관방 비서과 근무 겸 제실임야국 도쿄지국 감리과장 겸 정리과장으로 부임했다. 1931년 5월 대신관방 총무과장을 거쳐 1932년 7월에는 궁내대신 비서관이 되었다.

1936년 4월에 내무성으로 복귀해 기후현 경찰부장이 되었고 1937년 2월에는 미에현 경찰부장이 되었다. 1938년 1월 내무성 경보국 경무과장을, 1939년 4월에 내무대신 비서관 겸 인사과장을 지냈다.

1941년 1월부터 관선 도야마현지사를 지냈으며 1943년 4월에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고 같은 해 11월부터 방공총본부 경방국장을 겸했다. 1945년 2월에 관선 니가타현지사 겸 해운국장이 되었다가 4월에 경시총감이 되었다. 하지만 4개월 뒤에 궁성 사건이 발생하자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고 곧 도쿄도 차장으로 보임되었다. 1946년 1월 사임하면서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

2. 2. 정치 경력

마치무라 긴고는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후 1924년 5월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4] 아오모리현 지사관방 주사 겸 내무부 서무과를 시작으로 시즈오카현, 궁내성, 기후현, 미에현 등에서 근무했다.[4] 1941년 1월부터 관선 도야마현지사를 지냈으며,[4] 1943년 4월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고 같은 해 11월부터 방공총본부 경방국장을 겸했다.[4] 1945년 2월 관선 니가타현지사 겸 해운국장이 되었다가[4] 4월 경시총감이 되었지만, 궁성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4] 이후 도쿄도 차장으로 보임되었다가 1946년 1월 사임하면서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4]

1952년 총선에 개진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중의원 의원을 거쳐 홋카이도지사, 참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서 자치상 겸 국가공안위원장 겸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을 맡기도 했다.

2. 2. 1. 중의원 의원

1952년 10월, 개진당 공천으로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홋카이도 제1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1954년 일본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지 않고 무소속이 되었다가 곧 자유당에 입당했다.[4]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결성되자 오가타 다케토라 파벌에 들어갔다.[4] 1958년 제2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홋카이도 제1구)에서 당선되어 4선 의원이 되었다.[4]

2. 2. 2. 홋카이도지사

1959년 홋카이도지사 선거에서 일본사회당 소속 요코미치 세쓰오 전 일본교직원조합 부위원장을 꺾고 당선되었다.[4] 이후 1963년과 1967년 선거에서도 승리하여 3선 홋카이도지사를 지냈다.[4]

마치무라 긴고는 홋카이도지사 재직 중 구 홋카이도 청사(붉은 벽돌 청사) 보존 운동을 주도했다.

2. 2. 3. 참의원 의원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오랜만에 국회로 돌아왔다.

1972년 5월 『홋카이도 타임스』의 대표이사가 되었다. 1973년 11월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서 자치상 겸 국가공안위원장 겸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으로 처음 입각했다. 1980년 7월 자민당 참의원 의원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했다. 1983년 7월에 국회의원 선거에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

2. 3. 사망

1992년 12월에 사망했다. 사후 정3위에 추서되었으며 묘소는 도쿄도 분쿄구의 기치조지에 있다.

3. 정책 및 성향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폐지된 내무성을 부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도부현 자치제를 폐지하고 관선 지사 체제로 운영해야 하며, 도도부현의회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정 관련 국가 체제 강화를 위해 내무성 부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1][2]

홋카이도 출신 정치인으로 아이누 관련 정책에 적극적이었다.

소련을 비롯한 공산주의 국가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여 일본의 방위력 증강을 주장했다.[3]

4. 가족 관계

구 분내용
조부마치무라 오리노조 (에치젠국 후추번사, 제9대 당주)
아버지마치무라 긴야 (일본 낙농업계 선구자)
어머니소토 (후쿠이현, 식초양조업 야마모토 이센의 셋째 딸)
마치무라 히로타카 (전 귀족원 의원, 참의원 의원)
부인후타바 (돗토리현, 학자 쿠와타 쿠마조의 딸)
장남타다요시
장녀후지에
차남마치무라 노부타카 (관료, 정치인, 전 중의원 의원, 일본 중의원 의장 역임)
차녀히로코
삼녀키미요 〔야마모토 사토루 부인〕
사녀야스코
손주사위와다 요시아키 (현역 중의원 의원)


5. 역대 선거 기록

/후보자 수비례구비례 순위
/후보자 수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52년 10월 1일홋카이도 제1구개진당42,81512.93/11--당제2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53년 4월 19일홋카이도 제1구개진당37,57311.05/10--당제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55년 2월 27일홋카이도 제1구무소속50,96312.95/10--당제2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58년 5월 22일홋카이도 제1구자유민주당82,48022.02/7--당1959년 홋카이도지사 선거1959년 4월 23일홋카이도자유민주당1,092,45652.81/3--당1963년 홋카이도지사 선거1963년 4월 17일홋카이도자유민주당1,393,35263.51/4--당1967년 홋카이도지사 선거1967년 4월 15일홋카이도자유민주당1,424,53261.01/3--당제9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71년 6월 27일전국구자유민주당952,130style="text-align: right;" |4/106--당제1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77년 7월 10일전국구자유민주당1,028,981style="text-align: right;" |8/102--당선 회수 9회 (중의원 의원 4·홋카이도 지사 3·참의원 의원 2)


참조

[1] 간행물 北海道経済 北海道経済研究所 1980-02
[2] 간행물 世界と日本 株式会社内外ニュース 1983-08-15
[3] 간행물 動向 動向社 1979-07
[4] 서적 町村金五伝 北海タイムス社, 町村金五刊行会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